우도농악은 전라남도의 서부 평야지대를 중심으로 발달한 농악이다.
농악은 본래 신을 위한 종교 음악이다.
그러나 ‘당산제’, ‘갯제’, ‘마당밟이’와 같이 마을신을 제사하기 위해 연행하는 것이
농악 본래의 기능이라고도 할 수 있다.
전남 무형문화제 제17호 우도농악 보유자이신 김동언 선생님은 정통 예인이셨던
김오채 선생님의 뒤를 이어 우도농악 설장구의 맥을 잇는 명실상부한 설장구 명인이다.
기품이 느껴지는 발동작과 우아한 장구 놀음, 색색의 고깔치기가 일품